아메바증

(아메바증)

작성자:Chelsea Marie, PhD, University of Virginia;
William A. Petri, Jr, MD, PhD, University of Virginia School of Medicine
검토/개정일 2022년 10월 2일

아메바증은 단일 세포 원생동물 기생충 이질 아메바인 아메바에 의해 유발되는 대장 감염 및 이따금 간과 다른 기관에 대한 감염입니다.

  • 아메바는 사람과 사람 간에 음식 또는 물을 통해서 확산될 수도 있습니다.

  • 감염자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고 설사, 변비, 복부 경련 통증, 상복부 압통 및 발열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 의사들은 대변 검체 분석에 근거하여 진단을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 대장내시경검사 또는 초음파조영술 및 혈액 검사와 같은 다른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 감염자들은 아메바를 죽이는 약물을 처방받고, 그 후 대장에서 아메바의 잠복 형태(낭종)를 제거하는 약물을 처방받습니다.

(또한 기생충 감염 개요 참조)

아메바증은 위생이 불량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생충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나, 대부분의 감염은 아프리카 지역, 인도 아대륙, 중남미의 일부에서 발생합니다. 미국에서는 이민자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며, 덜 흔하게 위생이 불량한 국가들로 여행한 사람들에게 발생합니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5천 만 명이 아메바증에 감염되고 이 중 많게는 100,000명이 사망합니다.

아메바 종은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합니다.

  • 활성 기생충(영양형)

  • 휴면 기생충(낭종형)

다른 아메바 종은 장을 통해 사람을 감염시키지 않으며, 뇌(아메바 뇌 감염) 또는 눈(아메바 각막염)을 직접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아메바증의 전파

낭종을 삼키면 감염이 시작됩니다. 낭종은 부화한 뒤, 증식을 위해 영양체를 배출하고 내장 안에 궤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때때로는 낭종이 간 또는 다른 신체 부위로 퍼집니다. 일부 영양체는 영양체들과 함께 대변(배설물)으로 배설되는 낭종이 됩니다. 체외에서 약한 영양체는 사망합니다. 그러나 강한 낭종은 생존할 수 있습니다.

낭종은 직접적으로 사람과 사람 간에 또는 간접적으로 음식 또는 물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아메바증은 또한 구강-항문 성교를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비위생적인 지역에서의 아메바증은 배설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여 감염됩니다. 과일 및 야채는 재배될 때 인간의 배설물로 비료를 주거나, 오염된 물로 세척하거나, 감염된 사람이 준비한 경우에 오염될 수 있습니다. 아메바증 감염자들에게 실금이 있거나 개인위생이 청결하지 못한 경우에는 위생이 적절히 관리되는 곳(예, 어린이집 또는 정신병원)에서도 감염이 발생하고 확산될 수 있습니다.

아메바증의 증상

대부분의 감염자들은 일부 증상만 호소하거나 또는 증상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대변으로 낭종을 배설하기에, 감염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아메바증 증상은 일반적으로 1~3주에 걸쳐 발생하며 다음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설사, 때때로 대변에서 보이는 혈액 동반

  • 경련이 있는 복통

  • 체중 감소 및 열

중증의 경우, 복부를 만졌을 때 아프고, 종종 점액과 혈액이 섞인 변과 함께 중증의 설사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이질이라고 함). 일부 사람들은 중증의 경련성 복통과 고열을 경험합니다. 설사는 탈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신체 소모(수축) 및 빈혈은 만성 감염인 사람들에게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대장(결장) 내부에 큰 덩어리(아메바종)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의 경우에는 아메바가 간으로 전파되어 농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관련 증상에는 발열, 발한, 오한, 쇠약, 메스꺼움, 구토, 체중 감소 및 간 위쪽 우측 상복부에 통증이나 불편함 등이 포함됩니다.

드문 경우 아메바는 다른 장기(폐 또는 뇌 포함)로도 전파됩니다. 피부가 또한 감염될 수 있으며, 특히 엉덩이(오염된 대변으로부터 확산된 감염), 생식기(예를 들어, 감염자와의 항문 성교로 인한 음경 궤양) 또는 복부 수술이나 부상으로 인한 상처 주변을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아메바증의 진단

  • 대변 검사

  • 때로는 아메바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는 혈액 검사

  • 때때로 대장의 조직 검체 검사

의사는 아메바증을 진단하기 위해 분석용 대변 검체를 채취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아메바가 분비한 단백질이 있는지 대변을 검사하는 것(항원 검사) 또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기술을 이용하여 아메바의 유전 물질이 있는지 대변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PCR 기술은 아메바의 유전 물질에 대한 여러 복제본을 생성하여 아메바를 보다 쉽게 식별하도록 만듭니다. 항원 또는 PCR 검사는 종종 확정적이지 않은 현미경 대변 검체 검사보다 더 유용합니다. 또한 현미경 검사는 아메바를 확인하기 위해서 3~6개의 대변 검체가 필요할 수도 있으며, 아메바가 발견되었다고 해도 이질 아메바는 일부 다른 관련된 아메바들과 구분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외형만 동일하고 유전적으로는 다른 이질 아메바는 질병을 야기하지 않습니다.

유연한 관찰 튜브(내시경)를 사용하여 대장 내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거기서 궤양 또는 다른 감염 징후가 발견되는 경우, 내시경을 사용하여 비정상 부위로부터 체액 또는 조직 검체를 채취합니다.

아메바는 내장 바깥쪽 위치(간 등)로 확산되는 경우 더 이상 배설물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초음파검사, 컴퓨터 단층촬영검사(CT) 또는 자기공명영상검사(MRI)는 간 내에 농양 유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지만, 발생 원인을 알 수는 없습니다. 이후에는 아메바에 대한 항체를 검사하기 위해 혈액 검사가 실시됩니다. (항체는 기생충에 의한 공격을 포함하여 특정한 공격에 대해 신체를 방어하기 위해 면역체계가 생성하는 단백질입니다.) 또는 의사가 아메바로 인한 간 농양이 있다고 의심하는 경우, 아메바를 죽이는 약물(항아메바제)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만약 환자가 개선되고 있다면, 아마도 진단 결과는 아메바증으로 나타날 것입니다.

아메바증의 예방

인간 배설물로 오염된 음식과 물을 피하는 것이 아메바증을 예방하는 열쇠입니다. 감염이 흔한 지역에서 위생 체계를 개선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염이 흔한 지역으로 여행할 때는, 샐러드와 야채를 포함하여 조리하지 않은 음식 섭취를 피해야 하며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물과 얼음을 먹지 말아야 합니다. 물을 끓이면 낭종이 죽습니다. 또한 비눗물로 손을 씻는 것이 중요합니다. 0.1 또는 0.4 마이크론 필터를 통해 물을 여과하는 것은 이질 아메바, 다른 기생충뿐만 아니라,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물에 요오드 또는 염소를 용해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질 아메바에 대한 요오드나 염소의 효과는 물이 얼마나 탁한지 또는 흙탕물인지(탁도), 그리고 그 온도가 얼마인지와 같은 많은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메바증의 치료

  • 항아메바제 및/또는 낭종을 죽이는 약물

아메바증이 의심되고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메트로니다졸 또는 티니다졸의 항아메바제(아메바를 죽이는 약물)가 사용됩니다. 메트로니다졸은 7 ~ 10일 동안 복용해야 합니다. 티니다졸은 3 ~ 5일 동안 복용해야 합니다. 티니다졸은 메트로니다졸보다 부작용이 더 적습니다. 이러한 약물 중 하나를 복용 중이거나 약물을 중단한 후 며칠간은 음주를 하면 메스꺼움, 구토, 홍조, 두통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음주를 피해야 합니다. 니타족사니드는 아메바증 치료의 대안으로 제안되었습니다. 메트로니다졸, 티니다졸 또는 니타족사니드는 혜택이 위험을 능가하는 경우에만 임산부에게 투여합니다.

메트로니다졸, 티니다졸, 니타조사나이드가 모두 대장 내에 있는 모든 낭종들을 죽이는 것은 아닙니다. 또 다른 약물(파로모마이신, 디요오드히드록시퀸 또는 딜록사니드 퓨로에이트 등)은 이 낭종들을 죽이기 위해 사용하며 이를 통해 낭종 재발을 방지합니다. 이러한 약물들 중 하나는 아프지 않지만 대변 내에 이질 아메바가 있는 사람들을 치료하는 데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탈수된 사람들에게는 수액을 투여합니다.

선별 의학 문헌

  1. 1. Rossignol JF, Kabil SM, El-Gohary Y, et al: Nitazoxanide in the treatment of amoebiasis. Trans R Soc Trop Med Hyg 101(10):1025-31, 2007. doi: 10.1016/j.trstmh.2007.04.001

  2. 2. Escobedo AA, Almirall P, Alfonso M, et al: Treatment of intestinal protozoan infections in children. Arch Dis Child 94(6):478-82, 2009. doi: 10.1136/adc.2008.151852